김영삼대통령 집권기부터 기독교에 대한 불교계의 반발이 표면화되어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다종교 국가로서 종교간의 갈등이 비교적 적은 우리나라였습니다.
‘80년대 후반까지 불교계 주류는 친정부 성향을 보이며 정권에 협조적이었습니다. 그러나 ’80년대 후반부터 불교계의 일각에서 사회참여를 하면서부터 정부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표출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김영삼대통령의 집권기부터 정부정책에서 기독교에 유리한 정책이 있으면 이를 비판하는 목소리를 높이기 시작하였습니다. 특히 이명박대통령시절부터 공공분야에서 종교편향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면서 기독교의 활동을 위축시키려는 시도를 하며 기독교계와 갈등을 빚어왔습니다. 종자연(종교자유정책연구원)이라는 불교계 외곽 단체를 통해 기독교 학교(미션스쿨)의 기독교 교육을 문제삼아 학교에서 기독교 교육을 제한하려는 활동을 하였습니다. 특히 기독교인 공직자의 기독교 편향적 발언을 문제 삼는 등 공적 분야에서 기독교인의 활동을 위축시키려는 시도를 하여왔습니다.
특히 몇몇 사찰의 홈피에서는 노골적으로 기독교를 비판하는 자료를 올리기도 하였고, 많은 불자들이 안티기독들과 함께 반기독교 활동에 동참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는 일정부분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아래의 자료는 2010년 반기련(반기독교 시민운동연합)이라는 단체에서 버스광고를 통한 반기독교 활동이 기독교인들의 반발로 좌절되자 불교계 단체에서 관련 당사자들과 인터뷰를 한 기사입니다. 반기련에서 인터뷰를 하지 않자 반기련에서 이탈한 종비련(종교비판시민연대)의 사무국장과 인터뷰를 한 기사입니다.
비록 반기련에서 갈등이 있어 딴살림을 차리고 나간 종비련이지만 뿌리가 반기독교인만큼 반기련의 버스광고 중단에 대하여 강한 유감을 표명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Vol.61 합본호 2010.3+4~2010.5+6] 특집_(반)종교광고 자유인가?_신용국
특집_(반)종교광고 자유인가?_1.종교비판 버스 광고에 대한 단상
격월간 참여불교에서는 최근 반기독교시민운동연합(이하 반기련)에서 시내버스에 반종교광고를 게재했다가 버스회사의 자진철거로 해프닝으로 끝난 사건을 계기로 종교광고, 반종교광고가 필요한 것인가에 대한 각계의 의견을 모아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반기련측 입장을 홈페이지를 통해서 요청하였으나 응답이 없었습니다. 단체의 성격은 다르지만 이 건에 대한 종비련측 입장을 싣습니다.
종교비판 버스 광고에 대한 단상
종교비판자유실현시민연대 신용국 사무처장
지난 5일 반기독교시민운동연합(반기련)이 “나는 자신의 창조물을 심판한다는 신을 상상할 수 없다.”라는 아인슈타인의 말을 인용, 시내버스의 측면에 광고하려다가 버스회사의 자진철거로 무산된 일이 있다.
아마도 특정 종교에 대한 안티 광고라는 것 때문에 물의가 있었던 것 같다.
그러나 특정종교의 안티단체가 내건 광고라는 점을 제쳐놓고 보면, 이 광고의 내용은 지극히 이성적이며 논리적이라고 할 수 있다.
굳이 아인슈타인의 언급이 아니라도, 논리적 이해능력을 가진 사람이라면 자신의 창조물을 심판하는 신의 존재가 얼마나 자가당착의 모순인지를 알 수 있다.
근래에 들어 서구 각국에서는 무신론자의 권리 주장이 급증하고 있다.
리처드 도킨스의 ‘만들어진 신’이라는 책이 공전의 히트를 기록하는가 하면, 미국의 무신론 단체 및 저명인사들이 속속 tv토론 프로그램에 출연, 공공영역에서 무신론의 세력을 키우고 있는 중이다.
이번 한국의 버스광고 사건 또한 지난 해 영국에서 있었던 “아마도 신은 없을 것이다. 걱정하지 말고 인생을 즐겨라”라는 내용의 버스 광고 사건을 이어받은 것으로 보인다.
“인간이 인간과 세계의 역사를 만들고 진행하는 것일 뿐, 인간이나 세계의 운명을 지배하는 인간 외적인 절대자(신)의 존재는 없다“라는 것이다.
무신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극히 인본주의적 관점에 서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종교가 믿음의 사상체계라는 것을 인정한다면, 무신론 또한 종교적 관점으로 보아도 손색이 없는 것이다.
다만 신의 자리에 사람을 대입하고 있는 것일 뿐이다.
한국의 버스 광고는 4일 간의 해프닝으로 막을 내렸다.
공공영역에서 종교를 비판 혹은 비난하는 내용을 실을 수 없다는 사회적 관점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필자는 여기에서 질문을 던지지 않을 수 없다.
왜 기존 종교단체의 공공영역 광고는 용인되고 기존 종교단체를 비판하는 광고의 공공영역 광고는 비난받아야 하는 것인가?
신의 심판이나 신의 존재를 강조하는 게시물들이 공공 게시판 영역에 걸리는 것은 아무 문제도 아니고 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게시물은 문제가 된다는 것인가?
종교비판자유실현시민연대(종비련)는 지난 해 종교인, 종교단체, 종교시설물에 대한 적정한 납세의무 및 종교법인법 제정을 촉구하는 운동을 벌려 왔었다.
종교단체에 대한 법규정이 전무함으로써 한국의 종교단체는 모두가 무법적 임의단체들이고, 이로 인하여 종교단체, 종교 사제, 종교시설물에는 비과세가 당연한 관행처럼 여겨져 오고 있다.
종교인들은 세속의 법으로 종교단체를 규율할 수 없다고 주장하지만, 그러나 이 사회는 종교인들과 비종교인들이 함께 어울려 사는 공동체이다.
비종교인들이 사회의 인프라 시설에 의지하여 생활을 영위하는 것처럼, 종교 또한 사회의 인프라에 의지하여 생활을 영위한다.
종교가 비종교인들의 납세에 의존하여 무임승차하는 것은 사회평등이라는 민주주의적 대전제에도 부합하지 않는다.
더구나 무법적 성역이라는 특권은 종교 회계의 불투명과 이어져 종교계 자체의 타락과 부패, 탈세, 정치와의 유착 등을 양산하는 기제가 되고 있다.
한국에 기형적으로 많은 교회의 숫자는 무법적 성역이라는 특권에 의지하여 황금알을 낳는 거위를 향한 자본주의적 개척행위로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종교계의 부패와 타락, 그 대부분의 책임은 종교계를 사회의 제도권으로 끌어안지 않고 무법적 성역지대로 방치한 제도적 문제에 기인한다 하여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번의 버스광고사건 또한 종교계의 특권의식을 그대로 보여주는 한 단면이라 할 수 있다.
민주사회에서는 어느 누구든 자신의 의사를 자유로이 표현할 수 있는 자유가 있다.
그것이 대통령이나 어느 누구이건, 비판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영역은 민주사회에서는 없어야 하는 것이 당연한 상식이다.
만일 버스회사가 순전히 자신들만의 판단으로 광고를 중지하였다면 이를 두고 왈가왈부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러나 행여 외부의 입력이 있었고 그로 인해 광고가 중단될 수밖에 없었다면, 이는 표현과 비판의 자유를 거부하는 비민주적 특권의식의 발로에 기인한 것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비단 기독교계만이 아니다.
한국의 종교계는 사람들을 섬기며 봉사하는 것보다는 자신들의 특권과 우월성을 확보하는 것에만 관심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사회적 의무를 생각하기 보다는 거드름 부리며 자신의 권리만을 주장하는 종교, 그런 종교야말로 종교의 타락을 부채질하는 독이자 사람들의 건강한 정신을 좀먹는 아편에 다름없다 할 것이다.
출처: http://buddha21.tistory.com/74 [격월간 참여불교 웹 블로그]
'안티기독교활동 > 안티기독교의 활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사이버 공간에서 안티기독교의 활동 (0) | 2018.06.27 |
|---|---|
| 안티기독들의 해외교민 홈피에서 활동 (0) | 2018.04.29 |
| 조두순 사건에 대한 안티기독들의 반응과 반론 (0) | 2017.11.28 |
| "기독교 안티도 간증을 해야 한다(클안기에서)" (0) | 2017.02.24 |
| 클안기(클럽안티기독교) 카페가 게시물 읽기가 반폐쇄적(半閉鎖的)으로 전환되다. (0) | 2016.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