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에서 '종교'를 백과사전에서 검색하면 아래와 같이 설명이 나온다.
"인간의 정신문화 양식의 하나로 인간의 여러 가지 문제 중에서도 가장 기본적인 것에 관하여 경험을 초월한 존재나 원리와 연결지어 의미를 부여하고 또 그 힘을 빌려 통상의 방법으로는 해결이 불가능한 인간의 불안·죽음의 문제, 심각한 고민 등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종교의 기원은 오래이며, 그 동안 많은 질적 변천을 거쳐 왔으나 오늘날에도 인간의 내적 생활에 크게 영향을 끼치고 있다."
"안티기독교가 종교인가?"에 대한 의문을 오래전부터 가져 왔다.
언젠가 이런 주제로 글을 쓴 적이 있었고 이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기독교는 분명 종교로 분류가 된다.
그렇다면 기독교를 안티하는 안티기독교는 어떠한가?
안티기독교를 구성하는 구성원들의 성분이 복잡하여(안티기독교의 구성원은 공통의 목적, 이념으로 모인
다국적군과 같은 형태임) 이들을 단선적으로 표현할 수가 없다.
그렇지만 기독교가 거짓 종교이고, 인류에게 해악을 주는 종교이기 때문에, 반민족적이고 반문화적인 종교이기 때문에 박멸되어야 한다는 것이 안티들의 견해로 보인다.
물론, 기독교인을 미워하지 않는다거나, 박멸은 불가능함으로 기독교 바로 알리기를 하여 그 세가 위축되도록 하여야 한다는 온건론도 있으나 일런 목소리는 개독 박멸이라는 강경한 목소리에 묻혀 버리고 만다.
안티기독교는 분명 종교로 분류되는 기독교를 주된 관심의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러면서 기독교의 교리가 거짓되었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기독교의 교리와 제도가 거짓되었다면 기독교의 교리가 아닌 것, 기독교에서 부정하는 것은 참일 수도, 중립적일 수도, 거짓일 수도 있다는 논제가 성립된다.
적어도 안티적인 시각에서는 기독교적이 아닌 것은 선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기독교에서 주장하는 신관, 내세관, 윤리관 등을 부정하여 제거하면 안티적인 신관, 내세관, 윤리관 등이 나타나게 된다.
이것은 기독교 안티도 내세나, 신과 같은 초월적인 문제와 윤리와 같은 생활과 관련된 현실 문제에 대한 주관이 있다는 것이 된다.
결국, 안티기독교도 종교라는 도식이 성립될 수 있다.
필자가 안티기독교가 종교라는 확신을 갖는 또 하나의 논거는
안티기독교라는 진리에 대한 확신이다.
기독교는 거짓이니 진리는 기독교 밖에서 찾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대다수의 안티들은 각 종교의 근본주의자들이 갖고 있는 독선과 배타성을 갖고 있다.
자신의 믿음에 대한 확신이 있다.
이는 종교인들에게서 가능한 것이다.
개신교의 독선을 공격하면서 안티기독교 자신도 독선적이 되고 말았다.
개신교의 공격성을 비판하면서 자신들도 공격적이 되었다.
연예인이나 인기인이 기독교인이라고 하면 안티기독인들은 실망을 하거나
비난을 한다. 이것 역시 타종교인에 대하여 배타적인 근본주의자들의 속성을 닮은 것이다.
회심하여(?) 안티가 되는 과정이나, 기독교의 속박을 끊고 안티를 만드는 과정은 기독교가 하는 방법과 어찌 그리 닮았는지.....
조지오웰의 동물농장에서 돼지 나폴레온이 인간들의 속성을 공격했는 데
마지막에는 이들이 마치 인간처럼 된 것과 같은 형태다.
안티들이 설사 안티기독교가 종교임을 부인할지라도
안티기독교는 기독교의 모든 것을 부정하고, 파괴하려고 노력하는 과정에서
자신들만의 교리체계를 세웠고, 사이버 공동체를 건설하였고, 종교적인 동질감과 유대감을 형성하게 되었고, 기독교적인 신관과 내세관과 윤리관을 부정한 안티적인 신관과 내세관과 윤리관을 세우게 됨으로 안티기독교라는 새로운 종교를 창시하게 된 것이다.
'안티기독교 비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티교라고 하는 이유(한겨레 게시판에서) (0) | 2015.11.01 |
---|---|
예수 불제자 설에 대한 불자들의 질의 응답 (0) | 2015.10.27 |
아프칸 인질사태의 반기련 공식입장에 대한 반론과 안티들간의 논의 (0) | 2015.06.29 |
"반기독교"에 대한 명쾌한 설명 - 엔하위키 미러에서 (0) | 2015.02.20 |
임진왜란의 발발 원인을 가토릭에게 뒤집어 씌워라 - 안티기독의 전략 (0) | 2014.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