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티기독교활동/반기독교 활동에 대한 논의들

로마 카톨릭에 대한 생각(신비인) - 다음 아고라에서

시골마을 주민 2013. 4. 26. 08:06

안티기독교 활동의 주된 과녁은 개신교회입니다.

가톨릭은 안티들의 공격 대상에서 벗어나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안티들이 가톨릭을 언급하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아마 불교를 언급하는 경우보다도 적을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안티기독들이 가톨릭을 공격하지 않는 것은 가톨릭의 전도 방법이 개신교회처럼 직접적으로

드러나게 표현되지 않아 주목의 대상이 되지 못하고 있고,

전통문화의 상당부분을 수용해서 비기독교적 전통문화와 충돌이 적고

가톨릭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이 호의적인 것과 큰 관계가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안티기독들이 가톨릭을 안티의 대상에서 완전히 제외한 것은 아닙니다.

아주 드물지만 가톨릭에 대한 강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고

개신교회와 엮어서 비난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톨릭도 안티의 과녁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지금은 비록 안티의 주된 공격 대상이 아니지만 가톨릭도 안티기독교의 활동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입니다.

 

아래는 신비인이라는 수준 높은 안티가 가톨릭에 대한 생각을 올린 것입니다.

신비인은 엉터리 자료를 사용하지 않은 합리적인 안티를 주장하는 분입니다.

\\\\\\\\\\\\\\\\\\\\\\\\\\\\\\\\\\\

 

원숭이신도님 그리고 안티 여러분들께 로만 카톨릭에 대한 생각 [6]

신비인 (sinby****)   조회 74 10.12.11 12:34

 

로만 카톨릭은 그렇게 단순하게만 볼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첫째로 현 모든 그리스도교의 교리들이 이 로만 카톨릭에서 비롯 되었다는건 아실겁니다.

이 카톨릭의 교리 체계가 정리 완성된 것이 잘 알려진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인데,
이놈의 책이 어찌나 긴지 칼 마르크스의 "자본론"보다도 더 많더라는 ㅋ
전체 내용이 카톨릭 출판사에서 나온 것이 있는데 빽빽한 글씨로 7,800 페이지가 넘는 책이 9권인가 10권인가 그렇고,
요약본 한 권이 같은 활자 크기로 800 페이지 가량 되는 책 한 권일 정도니 엄청납니다. ㅋ
저도 귀찮아서 이거 요약본만 봤는데, 현재 모든 그리스도교 교리의 뼈대는 다 이 곳에 있으며, 다른 동,서양 철학들과 비교해 보면 아주 재미 있는 부분들이 많습니다.


각설하고 카톨릭이 무서운 점은 이런 교리 체계가 아니라는겁니다.
카톨릭의 가장 무서운 점은 바로 공동체 정신입니다.
대표적인 것이대표적인 예가 브라질 바닥 공동체와 같은 뿌리 공동체나 각 나라에서의 빈민 구제와 같은 것들입니다.
이들은 개신 기독교처럼 티 내지 않으면서 빈민 구제등을 통해 스며 드는 실천 전도를 한다는 점입니다.
또 20세기 중반 이후 급격한 태도 변화를 보이며 타 종교 사상등에 대한 유연성을 보이기도 했던게 사실입니다.
이런 면에서 얼핏 사회에서의 긍정적인 면을 말할 수도 있겠습니다만,
우리가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 카톨릭은 절대 진보적 개방적이지 않다는 것입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유연해 보이지만 실상 안으로는 공동체를 통한 내부 단속이 철저하게 되어 있습니다.


또 기독경이 깨지면 개신 기독교는 무너질 수 있어도 카톨릭은 무너지지 않습니다.
이것이 바로 카톨릭의 공동체 정신이 무서운 점입니다.
또 하나는 카톨릭의 조직 체계를 잘 생각해 보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카톨릭은 바티칸부터 평신도까지 이어지는 상명하복의 그물망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만약 어떠한 태도나 유연성도 상부에서 입장을 바꾸면 전체가 다 뒤집히게 되며,
그것을 수용하지 못하고 반발하면 사제건 평신도건 결국 출교가 될 수 밖에 없도록 되어 있습니다.
즉 지금의 타 종교 사상에 대한 유연성도 언제든 한방에 뒤집힐 수 있다는겁니다.


또한 카톨릭은 세계적으로 수 많은 신도와 막대한 자본을 가지고 있으며 이 조직 체계가
위에 설명한대로 언제고 한번에 입장을 바꿔 움직일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간혹 안티 동지 분들 중에서 기독교를 공략하기 위해 카톨릭은 수용하자고 한다던지,
카톨릭의 유연성만 보고 카톨릭은 좀 났지 않느냐고 말씀을 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저는 아주 위험천만한 생각이 아닐 수 없다고 생각을 합니다.


시대적 조류에 따라 보여지는 카톨릭의 이런 모습이 일반 사제나 평신도들까지 가식이라고는 하지 않겠습니다.
그러나 과연 바티칸의 모습이 정말 변화일까 아니면 발톱을 감추는 것일까에 대해서는 솔직히 의문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안티들이 기독교보다 더 경계해야 할 대상이 바로 로만 카톨릭이 아닐까 하는 것이 저의 생각입니다.

 
사랑하며살아가기
지금의 타 종교 사상에 대한 유연성도 언제든 한방에 뒤집힐 수 있다는겁니다. ← 정말 명확히 보신것이라는.....카톨릭의 공동체적인 네트워킹 구조는 상당히 위험하며.....그 구조체계가 하나의 실제적인 권력의 지배하에 있으며 그 지배적인 존재의 한마디로 인해서 한 순간에 입장이 바뀌는 시스템 체제라는.....또한 역사가 그것을 알려주고 있고요. 흐음.....교회사적인 부분을 올려도 괜찮을 듯.....싶네요.....카톨릭의 지배시스템하고 해서도요.....카톨릭교리 부분하고 해서도여.....흐음...재미있는 주제입니다. ^^ 10.12.11 리플달기 신고하기
0
댓글 사랑하며살아가기
아.....글에 집중하느라.....인사를 못드렸습니다. ^^ ㅎㅎ~ 신비인님 좋은 글 감사드리며~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기를..... 10.12.11 리플달기 신고하기
Donvi
헉~!! 안티입장에서 어떻게 이렇게 정확한 분석을하고 계실수가 있을까요? 기독인들도 간과하고 있는 미쳐 깨닫지 못하는 매우 중요한 부분들을 정확하게 꿰뚫어보시고 계시지를 않습니까? 종방때부터 모습을 잘 드러나지 않는 님을 항상 의식하고는 있었지만..지혜롭고 명철하신 님께 새삼 인사드리고 싶어 조심스럽게 댓글을 드립니다. 좋은아침 되시고 항상 건강하시고 평화롭고 풍성한 날들 되시길.**^ㅎ^** 10.12.11 리플달기 신고하기
0
댓글 Donvi
제가 이글을 링크를 걸어 다시한번 올려도 되겠는지요..!!! 지금 당장은 아니더라도 허하여 주시면 나중에라도 다시 올리고 싶네요. 기독인이나 케톨릭인들이나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꼭 읽어야할 글이될것이라는 생각에서 입니다. 안티분들 뿐만이 아니고여...!!! 우리 모든 그리스도인들 에게도 이해되고 살펴야할 부분들인거 같다는 생각을 합니다. **^ㅎ^** 10.12.11 리플달기 신고하기
잘살다 잘가자
....그렇네요^^...좋은 말씀 감사합니다^^..ㅎㅎㅎ 10.12.11 리플달기 신고하기
0
정반합
개신교는 어쩌면 부분적인 패악이요... 진정한패악은 로마 카톨릭 맞습니다...공감 합니다... 10.12.11 리플달기 신고하기
0

춮처 : 다음 아고라 문화 연예 토론방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articleId=423271&bbsId=D109